반응형 study/기독교 관련13 쯔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 목 차 - [1] 쯔빙글리의 생애 (p.2) [2] 종교개혁 이전의 쯔빙글리 (p.2~3) [3] 쯔빙글리와 취리히 종교개혁 (p.3~4) [4] 쯔빙글리의 종교개혁과 신학논쟁들 (p.4~5)1) 제 1차 논쟁2) 제 2차 논쟁3) 로마교회와의 분리4) 교회 개혁5) 쯔빙글리와 베른 교회 [5] 쯔빙글리와 루터 (p.6) [6] 쯔빙글리의 신학 (p.6~8)1) 신론2) 그리스도론3) 성령론4) 영성과 사회 정의5) 세례와 성만찬 논쟁 [7] 쯔빙글리의 시대적 의미 (p.8~9) 쯔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16세기는 놀라운 변화의 시기였다. 유럽의 각처에서는 교회개혁을 부르짖으며 종교개혁의 불씨는 활화산처럼 타올랐다. 취리히의 종교개혁을 주도했던 쯔빙글리, 그러나 그의 신학은 별로 알려지지 않.. 2024. 1. 19. 로마 카톨릭의 7성례 -로마 카톨릭 교회는 예배에 있어서 의식과 예전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그 중에서도 7성례가 예배와 신앙생활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었다. 성례란 보이지 않는 은혜의 보이는 형식으로 여겼으며, 7성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세례 -세례를 통해 교회의 일원이 되며, 성례전을 받을 권리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세례는 원죄를 제거하고 구원을 얻는 방편으로, 세례를 배에 비유하기도 했다. 범죄로 인하여 배가 파선할지라도 고해성사라는 널빤지를 통해 구원 받을 수 있다. 로마교회는 어린아이에게 반드시 세례를 행하였으며, 세례를 받지 못하고 죽는 어린 아이는 림보라는 곳에 머물게 된다고 믿었다. 2)성체성사(미사) -로마카톨릭교회는 성체의 화체설을 믿었다. 미사는 연옥에서 고생하는 사람들과 현세에 살고 있는 사람을.. 2024. 1. 19. 기독교와 불교의 인생관 비교 - 목 차 - [1] 기독교와 불교의 생명관 (p.2~5) 1. 기독교 생명관 2. 불교 생명관 [2] 기독교와 불교의 죽음관 (p.6~8) 1. 기독교 죽음관 2. 불교 죽음관 [3] 기독교와 불교의 사후세계관 (p.9~10) 1. 기독교 사후세계관 2. 불교 사후세계관 [4] 기독교와 불교의 구원관 (p.11~18) 1. 기독교 구원관 2. 불교 구원관 [5] 기독교와 불교의 참회관 (p.19~21) 1. 기독교 참회관 2. 불교 참회관 - 종 합 정 리 - (p.22) - 참 고 자 료 - (p.23) [1] 기독교와 불교의 생명관 1. 기독교 생명관 1) 생명 : 하나님의 창조의 소산, 예수 안에 있을 때 생명이 있음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생명의 근원은 하나님에게서 기원한다. 하나님께서.. 2024. 1. 19. 각 종교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 1) Hierophany - 성현으로써, 성스러움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종교상의 비의 해설자, 신비 의식의 도사, 사제, 주창자(성현, 성스러움의 드러남) 2) Polytheism - 다신론으로써, 많은 종교를 믿는 것을 말한다. 다신교, 다신론, 한 종교 안에서 여러 신이 존재하는 현상(예: 힌두교) 3) Shamanism - 무속/ 정령숭배 신앙으로써, 어떤 물질에 보이지 않는 영적인 실체가 있 다고 믿고 거기에다 잘하면 잘된다는 신앙을 말한다. 4) Panentheism/ Pantheism - 범재신론/ 범신론으로써, 전자는 사물자체가 아닌 사물에 깃들어있는 신령을 믿는 것이고, 후자는 사물 자체가 신이다. 5) 聖 / 俗 (성과 속) - 성스러움과 속된 것을 말하며, 애밀드르갱이 말하였다. 종.. 2024. 1. 18. 세계 종교로 보는 ‘죽음의 의미’ / 존 바우커 / 비교종교 /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 레포트 세계 종교로 보는 ‘죽음의 의미’ 존 바우커 지음 존 바우커는 이 책을 통해 각 종교가 말하는 죽음, 그리고 많은 철학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죽음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우리에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 중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에서 말하는 죽음에 대해 살펴보자. 첫 번째 이슬람교의 죽음의 의미 책에 나온 이슬람교의 죽음에 대해 읽어보면서 이슬람교도 죽음은 하나님에게 속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선 책에 나온 이슬람교와 죽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이슬람교는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여러 상반되는 주장들 가운데서 하나님의 절대적 진리를 발견하려고 추구했던 청년 무함마드에게서 시작 되었다. 무함마드는 한동안 고독 속에서 하나님의근원적이고 근본적인 진리를 찾으려고 전력을 다해 기도했다. 히라산.. 2024. 1. 1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