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75

유통기한 지난 우유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에 대한 해묵은 논쟁은 언제쯤 끝날까? 유통기한에 대한 논쟁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은 절대 먹으면 안된다." vs "유통기한이 지나더라도 보관이 잘되어 있다면 괜찮다." 이 두가지 주장을 놓고 사람들 사이에 토론이 시작되면 합의점 없이 끝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누구도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는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저마다 합리적인 이유와 삶의 경험을 근거로 논리정연하게 의견을 펼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이 논쟁을 끝낼 수 있을까?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는 이러한 논란을 의식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유통기한의 표기를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것을 유력하게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식약처에서 시행하려는 소비기한을 통해 이 논쟁의 답을.. 2023. 2. 10.
약과 함께 먹으면 상극인 음식이 있다. 몸이 아프면 자연스레 병원을 찾는 것이 우리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한간에는 병원을 너무 자주 간다고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고, 약을 남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몸이 아픈데도 마냥 참는 것이 바른 모습은 아니라 생각한다. 아프면 병원도 가서 진료받고, 약도 먹어야지!! (물론, 말그대로 남용은 좋지 않다) 그런데, 약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약이라고 아무렇게나 먹으면 오히려 안좋을 수 있다. 무슨 말이냐면, 약과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을 함께 섭취하면 부작용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몸에 좋은 약이라 해도, 함께 먹으면 상극인 음식을 알고 피하는 것이 약의 효과를 더 잘 누릴 수 있는 방법이다. 1)진통제와 해열제는 술을 피해야 한다. 진통제에는 아세트아미노펜과 .. 2023. 2. 9.
냉장보관을 피해야 하는 식품이 있다. 마트에서 장을 보면 대부분의 식품들은 냉장고로 들어간다. 과일과 채소 등의 식재료 등은 냉장 보관이 필수처럼 여기는 사감들도 있다. 그러나 냉장보관이 만능은 아니다. 냉장보관을 피해야 하는 식재료들이 있다. 냉장보관하면 안좋은 식재료를 몇가지 정리해보았다. 1. 양파 양파는 수분이 많아 냉장고에 보관하면 쉽게 무를 수 있다. 그러므로 양파는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다만 양파의 껍질을 깠다면 하나씩 비닐에 담아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2. 감자 감자는 냉장상태에서 보관했다가 고온으로 조리할 경우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또 저온상태의 감자는 녹말 성분이 당으로 변해서 원래의 맛과 식감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감자는.. 2023. 2. 9.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어제는 필리핀에서 진도7.1의 지진이 일어났고 오늘은 칠레에서 진도 6.2의 지진이 일어났다. 숫자로만 표현하면 어느정도인지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니 진도별 나타나는 현상을 이야기해보자. [진도별 현상] 가장 낮은 진도1의 경우,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진도2로 올라가면 공중에 매달린 물체가 흔들리는 정도, 진도3에서는 트럭이 옆에 지나가는 정도의 진동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진도3까지는 대수롭지 않게 지나가게 된다. 진도4부터는 집안의 그릇이 흔들리거나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지진을 체감할 수 있게 된다. 지진이 났음을 뚜렸하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진도4에서는 흔들리기만 했다면, 진도5에서는 창문이 깨질 수도 있다. 불안정하게 세워진 물체들은 넘어지게 된다. 그리고 부실하게.. 2023. 2. 8.
안전을 위한 호우 시 행동수칙 최근 지속된 호우로 인해 서울, 경기를 비롯한 중부지방 일대에 큰 피해가 있었다. 재산상의 피해는 말할 것도 없이 많은 인명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거나 다치는 사고도 많았다. 이들 중 다수의 사고는 기본적인 수칙만 잘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사고인데, 매년 되풀이 되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다. 오늘은 호우 시 행동수칙을 몇가지 살펴보고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보도록 하자. [계곡 캠핑 금지] 이번 호우 때도 어김없이 등장한 기사가 있는데, 바로 계곡에 고립된 캠핑족을 구조했다는 소식이다. 캠핑이 보편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캠핑을 하며 여가를 보내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아이들과 함께 캠핑하며 좋은 추억들을 만들어나가는 것은 참 좋은 일이다. 그런데, 캠핑으로 인해 생기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소위 좋은 .. 2023. 2. 8.
해양 생태계의 보고 '갯벌' 최근 자녀들과 함께 서해안 여행을 다녀왔다. 고향이 동해쪽이라 서해나 남해의 바다는 낯선 느낌이 든다. 동해의 넓고 탁 트인 해안선을 바라보면 가슴이 시원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어서 동해를 유난히 사랑하는 것이 사실인지라, 서해나 남해 여행을 할 때면 큰 기대를 하지 않고 가게 된다. 이번 여행도 큰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막상 서해 바다를 마주하니 색다른 느낌이 들었다. 갯벌을 바라보고 있자니 마음이 포근해진다고 해야 할까? 이번 서해여행의 후기는 차후에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다. 오늘은 서해바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갯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갯벌이란? #조수간만의 차] 갯벌이란 썰물과 밀물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만들어진다. 학교 다닐때 배운 기억이 나다. 하루에 두번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바.. 2023.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