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37

[골로새서 2장 16–23절 설교] "세상의 그림자보다 그리스도를 붙드십시오" 세상의 그림자보다 그리스도를 붙드십시오 골로새서 2장 16–23절 [서론 : 본질보다 형식을 붙드는 위험]우리는 종종 본질보다 형식에 더 집중하는 실수를 범합니다.종교 생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예배의 의식이나 절기, 금욕적인 규칙 등 외형적인 요소가 때로는하나님과의 관계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질 때가 있습니다. 바울은 오늘 본문에서,“먹고 마시는 것, 절기와 안식일”,또는 자기 의를 내세우는 ‘겸손’과 ‘천사 숭배’, 육체를 괴롭게 하는 금욕’ 등모든 외적 규칙을 내려놓고,그리스도만을 붙들라고 강력히 권면합니다. [본문 배경 : 혼합주의의 실체 – 종교적 율법주의, 신비주의, 금욕주의]골로새 교회에는 유대교의 절기 준수와 율법 강조,헬라철학과 신비체험을 강조하는 영지주의,육체를 억제해야 한다는 극단적.. 2025. 7. 17.
[골로새서 2장 1–15절 설교] "그리스도 안에서 자라가라 – 믿음의 뿌리를 그리스도께 두라" 그리스도 안에서 자라가라 – 믿음의 뿌리를 그리스도께 두라 골로새서 2장 1–15절 [서론 : 무엇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고 있습니까?]나무는 뿌리가 어디에 내렸는지에 따라 성장과 열매가 달라집니다.신앙도 마찬가지입니다.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해 보여도, 그 뿌리가 세상의 철학과 전통에 있느냐, 그리스도께 있느냐에 따라전혀 다른 열매를 맺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 바울은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의 뿌리를 내리고, 자라가며, 충만함을 누리기를 권면합니다.특히 골로새 교회를 유혹하고 있었던 철학, 전통, 율법주의적 신앙에 대해 경고하며,오직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지혜와 능력, 생명이 참된 복음임을 강조합니다. [본문 배경 : 혼합주의의 도전 앞에서 그리스도 중심으로]골로새 교회는 복음으로 시작했지만, .. 2025. 7. 17.
[골로새서 1장 15–23절 설교] "만물의 주, 교회의 머리" 만물의 주, 교회의 머리 골로새서 1장 15–23절 [서론 : 예수님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우리는 종종 예수님을 “나의 친구”, “나의 구세주”로 소개합니다.물론 다 맞는 표현입니다.하지만 바울은 여기서 예수님을 만물보다 먼저 계시며, 만물을 창조하시고, 교회의 머리 되시는 분으로 선포합니다.즉, 예수님은 단순히 개인적인 구세주에 그치지 않고,우주의 중심이며, 모든 피조물의 주인이시며, 교회를 다스리시는 머리라는 것입니다.골로새 교회는 예수님 외에도 다른 영적 지식이나 율법적 행위를 더해야 한다는 혼합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었습니다.이에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이면 충분하다는 복음의 핵심을 선포합니다. [본문 배경 : 신비주의와 율법주의의 도전에 대한 복음의 응답]골로새 교회에는 천사 숭배, .. 2025. 7. 17.
[골로새서 1장 1–14절 설교] "복음으로 시작된 교회" 복음으로 시작된 교회 골로새서 1장 1–14절 [서론 : 교회는 무엇으로 세워지는가?]오늘날 사람들은 교회의 성공을 건물, 프로그램, 인원 수로 측정하려 합니다.하지만 바울은 골로새 교회를 향해 말합니다.“너희 가운데 진실로 하나님의 은혜를 깨달은 날부터 복음이 열매를 맺고 자라나고 있다.”즉, 교회는 오직 복음으로 시작되고, 복음으로 자라나며, 복음으로 열매 맺는 공동체입니다.골로새 교회는 바울이 직접 세운 교회는 아니었습니다.에바브라라는 동역자가 복음을 전했고, 바울은 감옥에서 그 소식을 듣고 이 편지를 씁니다.오늘 본문은 바울이 그 교회를 위해 감사하며 기도하는 내용입니다.이를 통해 우리는 복음으로 시작된 신앙과 교회가 어떻게 성장해 가야 하는지를 배우게 됩니다. [본문 배경 : 골로새 교회와.. 2025. 7. 17.
[베드로후서 3장 11–18절 설교] "새 하늘과 새 땅을 바라보며 – 거룩함과 경건함으로 살라" 새 하늘과 새 땅을 바라보며 – 거룩함과 경건함으로 살라 베드로후서 3장 11–18절 [서론 : 기다림에는 태도가 필요합니다]무언가를 기다릴 때, 사람의 태도는 달라집니다.막연히 기다리는 사람은 시간을 흘려보내지만,정말 중요한 일을 기다리는 사람은 준비된 태도로 하루하루를 살아갑니다.하나님의 사람은 주의 날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사람입니다.오늘 본문은 그 기다림의 태도를 ‘거룩함’과 ‘경건함’으로 요약합니다.그리고 종말이 가까울수록 성도는 흔들리지 말고, 더 깊이 자라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본문 배경 : 재림 신앙은 종말론이 아니라 오늘의 실천입니다]앞선 본문(3:1–10)은 주님의 날이 반드시 오며, 그것은 도둑같이 임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이제 베드로는 그 날을 기다리는 우리가 이 땅에서 어.. 2025.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