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개오를 찾으신 예수님
누가복음 19:1–10
[서론: 무리 속에서 한 사람을 보시는 예수님]
예수님의 마음을 배운다는 것은,
사람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 본문에는 그 시선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던 마지막 여정 중,
여리고라는 도시에 들르셨습니다.
이제 곧 십자가를 지시기 직전입니다.
많은 무리가 예수님을 따르고 있었고,
사람들의 기대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모두가 무시하고 외면하던 한 사람,
‘삭개오’라는 사람이 예수님의 시선 안에 들어옵니다.
그는 세리장이며 부자였지만,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는
죄인 중 죄인, 사람 취급조차 받지 못하는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를 보셨고,
그를 부르셨고,
그의 집에 들어가셨습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예수님의 시선은 어떤 사람에게 머무는지,
그리고 그 한 사람을 향한 예수님의 마음이 우리의 마음이 되어야 함을 함께 배우기 원합니다.
[본문 해설과 메시지]
1. 겉으론 부자였지만, 마음은 갈급했던 삭개오 (1–4절)
“삭개오라 이름하는 자가 있으니 세리장이요 또한 부자라”
삭개오는 당시 여리고 지역의 세금 행정을 책임지는 세리장이었습니다.
그리고 재산도 많았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그를 어떻게 보았을까요?
동족의 등을 치고, 로마에 붙어 돈을 챙기는 배신자로 여겼습니다.
죄인, 부정한 자, 가까이하지 말아야 할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삭개오가 예수님이 누구신지 보고자 했다고 성경은 기록합니다.
그의 마음에는 무언가를 갈망하는 마음이 있었던 겁니다.
그가 가진 재물로도, 사람들과의 거리로도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과 외로움이 그의 내면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무리들 사이에선 예수님을 볼 수 없었습니다.
그는 키가 작았고, 사람들은 길을 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앞서 달려가 돌무화과나무에 올라갑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행동 이상입니다.
사회적 체면도, 신분도 내려놓고
예수님을 보기 위해 몸을 낮춘 갈망의 표현입니다.
그는 예수님을 멀리서 보기만 해도 좋겠다는 마음으로 올라갔지만,
예수님은 그를 가장 가까이서 보시는 분이셨습니다.
2. 예수님의 시선은 무리 너머 한 사람에게 향한다 (5–6절)
“예수께서 그곳에 이르사 쳐다보시고 이르시되, 삭개오야 속히 내려오라 내가 오늘 네 집에 유하여야 하겠다”
예수님께서 많은 무리 가운데 지나가시다가
그 나무 위에 있는 한 사람을 쳐다보십니다.
그냥 ‘보다’가 아닙니다.
‘쳐다보시고’—주의 깊게, 마음을 담아 바라보셨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분은 삭개오의 이름을 부르십니다.
처음 만난 사람인데, 이름을 부르십니다.
그는 그저 보기만 원했지만,
예수님은 그를 찾고 계셨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속히 내려오라. 내가 오늘 네 집에 유하여야 하겠다.”
예수님은 삭개오의 집으로 들어가시겠다고 하십니다.
삭개오의 삶, 그의 현실, 그의 상처와 수치 속으로 들어가시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깨끗하고 준비된 곳만 찾으시는 분이 아니라,
죄와 고통이 있는 자리도 주저 없이 들어가시는 분입니다.
이 말씀에 삭개오는 어떻게 반응합니까?
“급히 내려와 즐거워하며 영접하니라”
예수님의 부르심은
삭개오의 닫혀 있던 마음을 열게 만들었습니다.
3. 사람들은 정죄했지만, 예수님은 구원을 선언하신다 (7–10절)
무리들은 이 모습을 보며 수군거립니다.
“저가 죄인의 집에 유하러 들어갔도다”
사람들은 여전히 삭개오를 과거의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죄인인데… 어떻게 예수님이 저 사람 집에 들어가시나?”
은혜의 순간 앞에서도 정죄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무리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익숙한 모습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시선은 다릅니다.
그는 삭개오의 과거가 아니라 변화의 가능성을 보십니다.
죄인이 아니라 구원받을 자로 바라보십니다.
삭개오가 고백합니다.
“제 소유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고,
누구의 것을 속였으면 네 배로 갚겠습니다.”
예수님께서 무엇을 요구하신 것이 아닙니다.
그 사랑의 초대 앞에 삭개오의 마음이 열리고,
진정한 회개의 열매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온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선언하십니다.
“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으니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임이로다.”
구원은 사람들의 평가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영접하는 자에게 임하는 은혜입니다.
그리고 10절, 이 이야기의 결론입니다.
“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예수님의 마음은
잃은 자 한 사람을 찾는 마음,
그가 있는 자리까지 찾아가 손을 내미는 마음입니다.
[묵상과 적용]
오늘 우리는 어디에 서 있습니까?
사람들 사이에 예수님을 보려고 애쓰는 삭개오의 마음입니까?
아니면, 그를 비난하고 판단하는 무리의 시선을 가지고 있습니까?
혹은
우리 주변에도 ‘삭개오’ 같은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예수님의 마음은
“한 사람을 위해 멈추시는 마음”,
“무리 속에서도 이름을 부르시는 마음”,
“죄인의 집에 머무시며 삶을 바꾸시는 마음”입니다.
우리도 그 마음을 배워야 합니다.
[결론]
삭개오의 이야기는
예수님의 마음이 얼마나 깊고 넓은지를 보여주는 복음의 이야기입니다.
누군가가 외면한 사람,
모두가 멀리한 사람,
그 한 사람에게 예수님은 멈춰 서셨고,
이름을 부르셨고,
함께 식사하셨고,
삶을 변화시키셨습니다.
그 마음이 오늘도 우리에게 향하고 있고,
이제 우리를 통해 또 다른 ‘삭개오’를 찾으시기를 원하십니다.
[기도]
한 사람을 소중히 여기시는 주님,
삭개오를 외면하지 않으시고,
그를 바라보시고, 부르시고, 함께하시며 구원하신 주님의 마음을 저희도 배우게 하소서.
우리 주변의 연약한 이들, 소외된 이들, 잃은 자들을 향해
주님의 시선과 긍휼의 마음을 품게 하시고,
누군가의 삶 속으로 찾아가는 섬김의 발걸음을 내딛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성경인물(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의 마음을 배우다 6, 요한복음 21장 15–17절] "다시 맡기시는 주님" (0) | 2025.03.28 |
---|---|
[예수의 마음을 배우다 4, 요한복음 13장 1–17절] "섬김의 본을 보이시다" (0) | 2025.03.28 |
[예수의 마음을 배우다 3, 마태복음 14장 13–21절] "긍휼이 여기사 먹이시니라" (0) | 2025.03.28 |
[예수의 마음을 배우다 2, 누가복음 15장 11–32절] "돌아온 탕자, 아버지의 마음" (0) | 2025.03.28 |
[예수의 마음을 배우다 1, 마태복음 11장 28–30절]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