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tudy47

(노인복지) 한국 사회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art1 옛날 자료를 정리하던 중 몇몇 자료를 올려 공유합니다. 자료의 대부분이 2008년 즈음에 만들어졌으니, 자료 사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사회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복지' 본 2008학년 사회복지개론 학기말 보고서에서는 한국 사회복지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에 대하여 노인복지와 청소년복지, 아동복지, 장애인복지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제1장 노인복지 1.노인복지의 중요성 대두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했으며, 2020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상황에 놓여, 전 세계적인 과제로 등장한 노인문제에 있어 그 어느 사회보다 큰 관심을 쏟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도 비교적 일찍 노인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 2023. 7. 1.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4 (사회복지학과 레포트, 과제)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4 9)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제정 IMF 사태 이후 초유의 대량실업으로 절대빈곤계층이 대량 발생되어 사회전체적으로 위기에 처하였다. 이러한 때에 자본주의 사회의 최후의 안전벽이라는 공공부조, 특히 생활보호제도가 사회적 안전망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구멍 뚫린 안전망(social safety net)으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기존의 생활보호제도가 연령이 19세 미만~65세 이상이거나 폐질자나 임산부와 같은 근로무능력자로서 부양의무자가 없는 제한된 인구계층에 한하여 실시되었기 때문에 대량실업 발생에 따른 18세 이상 64세 미만의 근로능력 빈민들의 생존의 문제를 방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임시변통적인 한시적 생활보호제도.. 2023. 7. 1.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3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3 4) 일제시대 빈곤정책은 노동능력이 없는 빈민 또는 일시적으로 각종 재해를 당한 사람들을 위한 구호사업과 농촌빈민, 화전민, 토막민, 도시세궁민 등 노동능력이 있는 빈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구분된다. 일제는 1944년 조선구호령을 제정하였는데, 이는 형식상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공공부조제도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조선구호령의 적용대상은 ①65세 이상의 노쇠자, ②13세 이하의 유아, ③임산부, ④불구, 폐질, 질병, 상병 기타 정신 또는 신체의 장애로 인해 노동에 지장이 있는 자로 정하였다. 급여 내용으로는 생활부조, 의료부조, 조산부조, 생업부조로 구성되어 있고, 그호는 신청주의, 자산조사 규정, 거택보호를 원칙으로 하였다. 형식적으로는 근대적 .. 2023. 7. 1.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2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2 3)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불교의 병폐로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도입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다. 조선시대의 빈민구제원칙은 빈민구제에 관한 왕의 책임을 강조하는 왕도주의에 입각해 실시하고 공공부조사업의 일차적 실시책임은 지방관이 지도록 하였으며, 중아정부는 구호관계 교서 및 법제정을 하고 지방관의 구호행정을 지도하고 감독하였다. 조선시대 구빈사업은 비황제도, 구황제도, 의료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비황제도 비황제도(備荒制度)는 삼창을 위시한 차제로 관곡을 내어 빈민이나 이재민을 구제한 제도이다. 첫째, 상평창(常平倉)이다. 상평창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물가조절기고나이다. 상평이란 상시평준(常時平準)의 약어이다. 고려때 중국의 제도를 모방하여 곡물.. 2023. 7. 1.
한국사회복지의 역사(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1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part1 한국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볼 때, 크게 궁핍한 백성을 국가가 돌보아 주는 궁민진휼의 구빈사업과 풍수재해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빈곤해진 이재민들을 구제하는 재해구호사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1) 삼국시대 삼국시대 백성들은 재난을 피해 안전한 정착지를 찾아 무리를 지어 배회하였다. 반면 삼국시대의 왕들은 농업에 종사할 노동인력과 국방을 위한 병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구증가정책을 시행하였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국가에서 구빈정책을 적극 추진하였다. 고구려 고국천왕은 194년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였다. 매년 3~7월 사이에 가구수(家口數)에 따라 관곡(官穀)을 대여하고 추수기인 10월에 회수하는 궁핍한 농민들에 대한 구휼책이자 다른 한편으로는 왕권을 강.. 2023.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