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손하게 말하고, 겸손하게 살아가십시오
야고보서 4장 11–17절
서론: 말과 계획 앞에서의 믿음의 태도
사람은 누구나 말을 하며 살아가고,
또 하루하루 계획을 세우며 미래를 준비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자주 놓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그 말과 계획 속에 하나님이 계신가? 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야고보는
두 가지 중요한 주제를 우리에게 던집니다.
하나는 형제를 판단하는 말,
다른 하나는 하나님 없이 세우는 자기 계획입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통해
하나님의 사람은 어떤 태도로 말해야 하고,
어떤 자세로 인생을 바라보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줍니다.
본문 배경
야고보는 앞에서
욕심에서 비롯된 다툼과,
세상과 벗하며 살아가는 이중적인 삶을 경고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겸손히 하나님께 복종하며 살아가야 할 신자의 말과 삶의 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하고 있습니다.
본론
1. 형제를 비방하거나 판단하지 마십시오 (11–12절)
11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형제들아 서로 비방하지 말라.”
여기서 ‘비방’이란 단순히 불평하거나 불만을 말하는 것을 넘어서,
상대방의 허물을 들춰내고 헐뜯는 말,
상대의 명예를 해치는 말입니다.
야고보는 이것이 단지 형제를 향한 태도를 넘어서,
율법과 하나님을 거스르는 행위라고까지 말합니다.
“형제를 판단하는 자는 율법을 비방하고 율법을 판단하는 것이라.”
율법의 핵심은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그런데 형제를 판단하고 깎아내린다면,
그 율법의 본질을 무시하는 것이고,
결국 내가 율법 위에 선 사람이 되는 셈입니다.
12절은 분명히 말합니다.
“입법자와 재판자는 오직 한 분이시니…
너는 누구이기에 이웃을 판단하느냐?”
우리는 심판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서로를 격려하고 품어야 할 형제입니다.
혹시 우리 입술에서
비난이 아니라 중보의 기도가 흘러나오고 있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2. 인생을 마음대로 계획하지 마십시오 (13–14절)
야고보는 13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오늘이나 내일 어떤 도시에 가서 1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이 말은 단지 사업가들을 향한 경고가 아닙니다.
자기 인생을 전적으로 자신이 계획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태도,
그 속에 하나님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교만한 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14절은 우리의 현실을 정확히 꿰뚫습니다.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우리는 내일을 알 수 없습니다.
건강도, 관계도, 경제도,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우리 인생은 안개처럼,
순간 나타났다가 곧 사라질 만큼 연약하고 덧없습니다.
그러므로 참된 믿음의 사람은
자기 인생을 스스로 조정하려 하기보다,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그 뜻 안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3. 하나님의 뜻을 고백하는 믿음의 말 (15–16절)
15절에서 야고보는
우리가 말해야 할 바른 자세를 알려줍니다.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
‘주의 뜻이면’이라는 말은
단순한 습관적인 말이 아니라,
삶 전체를 하나님의 뜻에 맡기려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말로만 고백하고 실제로는 자기 뜻대로 밀어붙인다면
그건 믿음이 아니라 형식입니다.
진짜 믿음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자신의 계획을 내려놓고 주님의 인도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16절은 이렇게 경고합니다.
“허탄한 자랑을 하니, 이러한 자랑은 다 악한 것이라.”
하나님 없이 세우는 계획과 말이
결국 교만이 되고, 그 교만은 죄가 됩니다.
4. 알고도 행하지 않으면 죄입니다 (17절)
마지막 17절은 매우 도전적인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선을 행할 줄 알고도
행하지 아니하면 죄니라.”
이 구절은 단지 선행을 많이 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하나님께 순종해야 할 것을 알고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외면하면 그것은 죄라는 뜻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알고 있습니다.
형제를 판단하지 말아야 할 것도 알고,
하나님 없이 내일을 자랑하지 말아야 할 것도 압니다.
문제는 그것을 삶에서 실제로 순종하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결론 및 적용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말씀을 통해 두 가지 겸손을 배웁니다.
첫째, 말의 겸손입니다.
우리는 서로를 판단할 위치가 아니라,
서로를 세우고 중보할 위치에 있습니다.
둘째, 계획 앞에서의 겸손입니다.
내일은 우리의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 안에서 살겠다는 고백이
우리의 말과 삶에 늘 함께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겸손한 자는,
하나님의 뜻을 묻고,
그 뜻에 순종하며,
사람을 세우는 말로 공동체를 살려냅니다.
오늘도 그런 겸손한 믿음의 사람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기도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말과 생각, 계획 속에
하나님 없이 교만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용서해 주옵소서.
형제를 판단하지 않게 하시고,
내일을 자랑하기보다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살아가게 하옵소서.
참된 겸손의 삶, 순종의 삶을 살아가게 하시고,
말마다 계획마다 “주의 뜻이면”이라는 고백이 있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야고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고보서 5장 7–12절 설교] "주의 오심을 기다리는 인내의 신앙" (0) | 2025.03.26 |
---|---|
[야고보서 5장 1–6절 설교] "하나님 앞에서 재물을 다루는 믿음" (0) | 2025.03.26 |
[야고보서 4장 1–10절 설교] "하나님과 가까이 하라" (0) | 2025.03.26 |
[야고보서 3장 13–18절 설교] "위로부터 난 지혜" (0) | 2025.03.26 |
[야고보서 3장 1–12절 설교] "말을 다스리는 지혜" (0)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