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교자료/고린도전서29 [고린도전서 14장 1–25절 설교] "방언과 예언의 질서" 방언과 예언의 질서 고린도전서 14장 1–25절중심 구절: “사랑을 추구하며 신령한 것들을 사모하되 특별히 예언을 하려고 하라” (고전 14:1) [서론]신앙생활에서 우리는 신령한 체험을 사모합니다.방언, 예언, 환상, 기적…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나누는 것은 참된 기쁨이고 은혜입니다.그러나 고린도 교회는 은사에 대한 기준이 흐려졌습니다.특히 방언을 과도하게 강조하고, 예배 안에서 혼란을 초래하는 일이 많았습니다.이에 바울은 오늘 본문에서 은사의 목적과 예배 안의 질서를 다시 세워주며,공동체의 유익과 덕을 세우는 예언을 더욱 귀히 여길 것을 권면합니다.오늘 말씀을 통해우리가 신령한 은사를 사모하되,그 은사를 어떻게 사용하고,예배 가운데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를 함께 묵상하겠습니다. [본문 배경]고린도 교.. 2025. 4. 13. [고린도전서 13장 1–13절 설교] "가장 큰 것은 사랑이라" 가장 큰 것은 사랑이라 고린도전서 13장 1–13절중심 구절: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고전 13:13) [서론]고린도전서 13장은 '사랑 장(章)'으로 잘 알려진 말씀입니다.결혼식이나 특별한 자리에서 자주 인용되지만,사실 이 말씀은 은사를 다루는 고린도전서 12장과 14장 사이에서은사보다 더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주어진 말씀입니다.바울은 고린도 교회가 은사에는 열심이지만 사랑은 부족한 공동체였음을 지적하며,진정한 신앙과 공동체의 중심은 사랑임을 선언합니다.오늘 이 말씀을 통해우리가 가진 은사, 신앙, 사역이사랑 위에 세워지고 있는지 돌아보며,하나님이 원하시는 참된 성숙의 길을 함께 묵상하겠습니다. [본문 배경]고린도 교회.. 2025. 4. 13. [고린도전서 12장 12–31절 설교] "한 몸과 많은 지체" 한 몸과 많은 지체 고린도전서 12장 12–31절중심 구절: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 (고전 12:27) [서론]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입니다.그리고 우리는 그 몸의 각 지체, 즉 서로 다른 역할을 가진 존재들입니다.하지만 때로 우리는“나는 쓸모없는 지체인가?”,“왜 나는 저 사람처럼 되지 못할까?”하며 비교하거나 낙심합니다.고린도 교회도 마찬가지였습니다.서로의 은사를 비교하며 우열을 가리고,더 눈에 띄는 은사만을 부러워하며 공동체 안의 분열과 갈등이 생겼습니다.바울은 오늘 본문을 통해교회가 어떻게 하나의 몸으로 연결되어 있는지,그리고 각 지체가 얼마나 귀한 존재인지를 강조합니다. [본문 배경]고린도전서 12장 1–11절에서 바울은성령께서 각 사람에게 은사를 나누어 주신다는 것을 .. 2025. 4. 13. [고린도전서 12장 1–11절 설교] "은사는 하나님의 주권" 은사는 하나님의 주권 고린도전서 12장 1–11절중심 구절: “이 모든 일은 같은 한 성령이 행하사 그의 뜻대로 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시는 것이니라” (고전 12:11) [서론]우리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각기 다른 은사를 가지고 살아갑니다.어떤 이는 말씀을 잘 전하고,어떤 이는 섬김에 뛰어나며,또 어떤 이는 기도나 치유, 믿음의 은사를 받습니다.그런데 이 은사가 때로는 교만이나 비교,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고린도 교회가 그랬습니다.은사를 받은 것은 좋았지만, 그 은사의 주인을 잊고,자기 자랑과 분열로 흐르게 된 것입니다.오늘 본문에서 바울은 말합니다.“은사는 하나님의 주권에 따라 주어지며, 공동체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이 말씀을 통해 성령의 역사와 은사를 바라보는 바른 시각과 태도를 함께 묵상.. 2025. 4. 13.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 설교] "주의 만찬의 참된 의미" 주의 만찬의 참된 의미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중심 구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고전 11:24) [서론]주의 만찬은 예수님께서 친히 제정하신 예식이며,그리스도인의 신앙을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 고백하는 중요한 예전입니다.그러나 고린도 교회 안에서는 이 거룩한 예식이 분열과 무질서,심지어는 하나님 앞에서의 죄악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바울은 주의 만찬의 본질과 목적,그리고 그것을 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 엄중하게 교훈합니다.오늘 이 말씀을 통해우리가 주의 만찬에 참여할 때어떠한 마음으로 임해야 하며,그 의미를 어떻게 기억해야 할지를 함께 묵상하겠습니다. [본문 배경]고린도 교회에서는 ‘애찬’이라 하여성도들이 함께 모여 식사를 나눈 후 주의 만찬을 거행하곤 했습니다.하지만 일부 부유한 자.. 2025. 4. 1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