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사는 하나님의 주권
고린도전서 12장 1–11절
중심 구절: “이 모든 일은 같은 한 성령이 행하사 그의 뜻대로 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시는 것이니라” (고전 12:11)
[서론]
우리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각기 다른 은사를 가지고 살아갑니다.
어떤 이는 말씀을 잘 전하고,
어떤 이는 섬김에 뛰어나며,
또 어떤 이는 기도나 치유, 믿음의 은사를 받습니다.
그런데 이 은사가 때로는 교만이나 비교,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고린도 교회가 그랬습니다.
은사를 받은 것은 좋았지만, 그 은사의 주인을 잊고,
자기 자랑과 분열로 흐르게 된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바울은 말합니다.
“은사는 하나님의 주권에 따라 주어지며, 공동체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이 말씀을 통해 성령의 역사와 은사를 바라보는 바른 시각과 태도를 함께 묵상하겠습니다.
[본문 배경]
고린도 교회는 은사가 풍성한 교회였습니다.
그러나 그 은사가 교회를 세우기보다는 오히려 갈등을 낳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특히 방언, 예언, 지식 등 눈에 띄는 은사들을 과도하게 추구하며,
더 겸손하게 섬겨야 할 은사들은 무시당했습니다.
이에 바울은 은사의 출처와 목적,
그리고 성령의 주권적인 역사를 다시 강조합니다.
[본론]
1. 성령은 우리 안에 역사하시는 분입니다 (1–3절)
“형제들아 신령한 것에 대하여 나는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바울은 ‘신령한 것’, 곧 은사와 성령의 역사에 대해
성도들이 바르게 알기를 원했습니다.
당시 고린도는 이방 신전이 많았고,
그곳에서도 황홀경에 빠져 신비로운 말을 하는 일이 흔했습니다.
고린도 성도들 가운데도 성령의 역사와 이방 종교의 체험을 혼동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말합니다.
“성령으로 말하는 자는 누구든지 예수를 저주할 수 없고,
예수님을 주님이라 고백하는 것은 성령으로만 가능한 일이다.” (3절)
진짜 성령의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를 높이며,
그분을 주로 고백하게 하는 역사입니다.
2. 은사는 다양하지만 출처는 하나입니다 (4–6절)
“은사는 여러 가지나 성령은 같고,
직분은 여러 가지나 주는 같으며,
사역은 여러 가지나 하나님은 같으니…” (4–6절)
바울은 은사, 직분, 사역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다양성은 삼위 하나님의 조화로운 역사 안에서 주어졌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은사는 성령께서 주시는 능력
- 직분은 주 예수께서 부르시는 역할
- 사역은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결과
즉, 어떤 은사를 받았든
출처는 동일하며, 경쟁이나 자랑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3. 은사는 공동체의 유익을 위한 것입니다 (7절)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을 주심은 유익하게 하려 하심이라.”
은사의 목적은 자기 만족이나 자랑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유익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 각자에게
- 격려할 수 있는 힘,
- 돌볼 수 있는 마음,
- 가르칠 수 있는 지혜,
- 기도할 수 있는 믿음을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교회를 세우기를 원하십니다.
그러므로 은사를 자랑하거나 감추는 것이 아니라,
섬김과 사랑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4. 성령은 각 사람에게 뜻대로 나누어 주십니다 (8–11절)
“이 모든 일은 같은 한 성령이 행하사
그의 뜻대로 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시는 것이니라.” (11절)
바울은 구체적인 은사 목록을 소개합니다.
- 지혜의 말씀
- 지식의 말씀
- 믿음
- 병 고침
- 능력 행함
- 예언
- 영 분별
- 방언
- 방언 통역
이 은사들은 성령께서 그분의 뜻에 따라,
각 사람에게 다르게 나누어 주십니다.
그러므로 누구의 은사가 더 높거나 귀한 것이 아닙니다.
모두가 성령의 선물이며,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도구입니다.
[적용과 묵상]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 자신을 돌아봅니다.
- 나는 내 은사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잘 사용하고 있는가?
- 은사를 비교하며 우월감이나 열등감에 빠져 있지는 않은가?
- 내 섬김과 사역의 중심은 자기 만족인가, 공동체의 유익인가?
하나님은 모든 성도에게 은사를 주셨고,
그 은사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세워지고 함께 사용할 때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됩니다.
[결론]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향해 외칩니다.
“은사를 받았다고 자랑하지 말고,
그 은사의 주인이신 성령님을 바라보라.”
오늘 우리도 이 말씀 앞에 서서
나에게 주신 은사를 감사로 받고,
공동체를 위해 기쁘게 사용하는 복음의 도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기도]
하나님, 성령께서 우리 각 사람에게 은사를 주셨음을 감사합니다.
그 은사를 자랑하지 않게 하시고,
주님의 뜻에 따라 공동체를 세우는 도구로 사용하게 하옵소서.
나에게 주신 것을 기쁨으로 받아,
하나님 나라의 일에 충성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3장 1–13절 설교] "가장 큰 것은 사랑이라" (0) | 2025.04.13 |
---|---|
[고린도전서 12장 12–31절 설교] "한 몸과 많은 지체" (0) | 2025.04.13 |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 설교] "주의 만찬의 참된 의미" (0) | 2025.04.13 |
[고린도전서 11장 1–16절 설교] "예배 안의 질서와 존중" (0) | 2025.04.13 |
[고린도전서 10장 14–33절 설교] "하나님 영광을 위한 삶" (1) | 2025.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