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교자료/히브리서27 [히브리서 9장 1-28절 설교] "단번에 이루신 영원한 속죄" 단번에 이루신 영원한 속죄 히브리서 9장 1-28절 서론: 히브리서의 흐름과 제사의 완성히브리서 기자는 계속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과 새 언약의 우월함을 강조해왔습니다.8장에서는 새 언약이 마음에 기록된 은혜의 언약임을 선포했습니다.오늘 본문인 9장에서는 구약의 성막과 제사 제도가 가지는 한계를 설명하면서,예수님께서 하늘 성소에서 단번에 드린 속죄 제사가우리에게 어떤 영원한 구원을 가져왔는지를 선포합니다. 본문 배경히브리서 9장은 두 가지를 대조하며 진행됩니다.하나는 구약 시대 성막과 제사 제도의 구조와 한계,다른 하나는 예수님이 이루신 완전한 속죄 제사입니다. 본론1. 구약의 성막과 제사의 한계 (1-10절)1-5절에서는 구약 성막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합니다.성소에는 등불과 떡상이 있고, 지.. 2025. 3. 24. [히브리서 8장 1-13절 설교] "더 좋은 언약, 더 나은 중보자" 더 좋은 언약, 더 나은 중보자 히브리서 8장 1-13절 서론: 히브리서의 흐름과 새 언약의 중요성히브리서 기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이 구약의 제사장보다 더 우월하고 영원하다는 사실을 강조해왔습니다.특히 7장에서 예수님이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영원한 대제사장이시며, 우리를 온전히 구원하시는 분이심을 선포했습니다.오늘 본문인 8장에서는 예수님을 통해 주어진 새 언약이 구약의 옛 언약보다 얼마나 더 좋은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우리가 믿는 복음은 단순히 율법의 연장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은혜의 언약 안에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려는 것입니다. 본문 배경히브리서 기자는 대제사장이 성소에서 사역하듯,예수님도 하늘 성소에서 중보자로서 사역하고 계심을 강조합니다.그러나 그 사역은 구약의 제사.. 2025. 3. 23. [히브리서 7장 1-28절 설교]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영원한 대제사장"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영원한 대제사장 히브리서 7장 1-28절 서론: 히브리서의 중심 흐름과 대제사장직의 완성히브리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하심을 강조하면서,성도들에게 믿음을 끝까지 지킬 것과 성숙한 신앙으로 자라갈 것을 강하게 권면해왔습니다.특히 5장부터 시작된 예수님의 대제사장직에 대한 설명은,구약의 제사장 제도와 비교하여 예수님이 어떻게 더 크고, 더 온전한 대제사장이 되셨는지를 보여줍니다.오늘 히브리서 7장은 멜기세덱이라는 구약 인물을 통해,예수님의 대제사장직이 어떤 특징을 가지며, 왜 그것이 우리의 구원에 결정적인 의미가 있는지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본문 배경멜기세덱은 구약 창세기 14장에 잠깐 등장하는 인물입니다.아브라함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살렘 왕이자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2025. 3. 23. [히브리서 6장 9-20절 설교] "약속하신 하나님을 붙드십시오 – 소망의 닻을 붙들라" 약속하신 하나님을 붙드십시오 – 소망의 닻을 붙들라 히브리서 6장 9-20절 서론: 경고 후에도 주시는 격려의 말씀히브리서 6장 전반부에서는 매우 강한 경고의 말씀이 있었습니다.신앙의 기초에 머물러 있거나, 은혜를 경험하고도 끝내 믿음을 저버리는 자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내용이었습니다.그러나 히브리서 기자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오늘 우리가 읽은 후반부 말씀에서는,하나님은 약속하신 바를 반드시 이루시는 분이며,우리가 그 소망을 굳게 붙들고 인내할 수 있도록 격려하시는 분임을 강조합니다.신앙의 여정에 흔들림과 연약함이 있어도,하나님은 신실하시고 그 약속은 확실하다고 선언합니다. 본문 배경앞서 경고의 말씀을 받은 성도들에게, 히브리서 기자는 이제 격려와 소망의 메시지를 줍니다.성도들이 낙심하지 않고 끝까지.. 2025. 3. 23. [히브리서 6장 1-8절 설교] "성숙을 향해 나아가십시오 – 믿음에 머물지 말고 자라라" 성숙을 향해 나아가십시오 – 믿음에 머물지 말고 자라라 히브리서 6장 1-8절 서론: 히브리서의 흐름과 성장에 대한 권면히브리서 기자는 초대교회의 성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하심과 대제사장적 사역을 선포하면서,그 은혜 안에서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해왔습니다.5장에서는 “너희가 아직 젖을 먹는 자와 같고, 단단한 음식을 먹기에 미숙하다”고 안타까워했습니다.오늘 본문에서는 성숙하지 못한 신앙이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기대하시는 성숙한 믿음의 모습이 무엇인지를 강하게 권면합니다. 본문 배경히브리서 6장은 앞서 언급한 신앙의 미성숙을 넘어,믿음에서 떠나는 자들에게 주는 강한 경고가 담겨 있습니다.성도들이 단순히 신앙의 시작에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계속해서 자라.. 2025. 3. 2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