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편을 택한 신앙"
본문: 누가복음 10:38–42
38 그들이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마을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39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40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를 명하사 나를 도와 주라 하소서
41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42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서론]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바쁩니다.
예배도 드리고, 봉사도 하고, 말씀도 읽고, 기도도 하지만,
정작 주님과 깊이 머무는 시간은 부족할 때가 많습니다.
오늘 본문에는 예수님을 자기 집에 모신 두 자매, 마르다와 마리아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 두 자매는 모두 예수님을 사랑했고, 그분을 위해 헌신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마르다의 분주함이 아니라, 마리아의 자리를 칭찬하십니다.
이 말씀은 오늘 우리가 신앙생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무엇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하는지를 돌아보게 합니다.
[본문 배경]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여러 마을을 다니시며 복음을 전하셨습니다.
그 여정 중에 한 마을에 도착하셨고,
마르다는 기쁜 마음으로 예수님을 자기 집으로 모셨습니다.
당시 중동 문화에서 손님을 맞는다는 것은 큰 환대와 준비가 필요했습니다.
마르다는 그런 문화적 기대와 책임 속에서 분주하게 움직였고,
마리아는 예수님의 발치에 앉아 말씀을 듣고 있었습니다.
이 장면은 예수님을 사랑하는 두 자매의 다른 반응을 보여주며,
주님 앞에서 우리가 선택해야 할 ‘좋은 편’이 무엇인지 말씀해줍니다.
[본론]
1. 마르다의 분주함 – 열심이 있지만 방향이 어긋난 신앙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40절)
마르다는 예수님을 위한 준비로 인해 분주했습니다.
단지 손님맞이 수준이 아니라, 진심으로 예수님을 섬기고자 하는 열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마음은 점점 분주해졌고, 결국에는 짜증과 불만으로 바뀌었습니다.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예수님께 불평하고, 마리아를 정죄하기에 이릅니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교훈을 얻습니다.
신앙의 열심이 항상 주님께 기쁨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바쁜 신앙, 일에 집중된 신앙은 어느새 마음의 중심을 잃고,
비교와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도 신앙생활 속에서 ‘무엇을 위해’ 바쁜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주님을 섬기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 마음 중심에는 내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열심은 있었지만 기쁨은 사라진 신앙은 아닌지,
마르다의 모습을 통해 자신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2. 마리아의 자리 – 말씀 앞에 머무는 신앙
“그의 동생 마리아는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39절)
마리아는 조용히 예수님의 발 앞에 앉아 말씀을 듣고 있었습니다.
이 모습은 단순한 경청이 아니라, 제자의 자세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발 앞에 앉는다’는 표현은 당시 랍비에게 배우는 제자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즉, 마리아는 예수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그분의 말씀에 집중하며 배우는 자리로 나아간 것입니다.
마리아는 바쁘게 일하지 않았지만, 가장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주님과 함께 머물고, 그분의 말씀을 듣고, 그분의 뜻에 집중하는 시간 말입니다.
신앙생활의 본질은 예수님과의 관계입니다.
말씀을 듣고, 그 말씀 앞에 머무는 시간을 잃어버리면,
우리의 열심은 방향을 잃고, 영적인 깊이를 잃게 됩니다.
마리아의 모습은 신앙의 중심을 놓치지 않는 자의 모습입니다.
3. 좋은 편을 택한 마리아 – 흔들리지 않는 신앙의 선택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42절)
예수님은 마르다에게 조용히 말씀하십니다.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그리고는 마리아의 선택이 ‘좋은 편’이었다고 말씀하십니다.
이 ‘좋은 편’이란 영원한 것을 선택한 삶의 방향입니다.
세상에는 많은 일이 있습니다.
해야 할 일도 많고, 신앙적으로도 다양한 사역과 봉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보다 더 우선되어야 할 것은 주님과의 관계입니다.
마리아는 그 관계를 가장 우선순위에 두었고, 예수님은 그 선택을 칭찬하신 것입니다.
이 세상은 끊임없이 우리를 분주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다.”
그 한 가지는 주님의 말씀 앞에 머무는 것입니다.
말씀과 기도, 예배와 묵상의 시간을 통해,
주님과 깊은 교제를 나누는 것, 주님 안에 머무는 것,
그 시간이 우리를 다시 회복시키고, 우리의 삶을 인도하는 힘이 되는 것입니다.
[결론]
오늘 본문은 마르다와 마리아, 두 자매를 통해
신앙의 중심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줍니다.
마르다는 열심히 주님을 섬겼지만, 점점 비교하고 불만하게 되었고,
마리아는 말씀 앞에 앉아 조용히 주님을 바라보았습니다.
예수님은 마리아의 자리를 ‘좋은 편’이라 말씀하십니다.
오늘 우리는 누구의 자리에 서 있습니까?
혹시 마르다처럼 주님을 위해 열심히 일하지만, 마음은 분주하고 상한 상태는 아닙니까?
오늘 하루, 마리아처럼 주님의 발 앞에 앉아 말씀을 듣고,
그 안에서 쉼과 회복을 얻기를 소망합니다.
[기도]
주님, 저희의 마음이 마르다처럼 분주할 때가 많습니다.
주님을 사랑하지만, 내 열심에 치우쳐 중심을 잃을 때가 많았음을 고백합니다.
오늘 마리아처럼 주님의 발 앞에 앉아 말씀을 듣고, 주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게 하소서.
주님과의 관계를 신앙의 중심에 두고, 좋은 편을 선택하는 하루가 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절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순절 예배 5, 마태복음 20장 1–16절 설교] "하나님의 은혜는 계산이 아니라 긍휼입니다" (0) | 2025.03.29 |
---|---|
[사순절 예배 4, 요한복음 11장 1–44절 설교]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 죽음을 이기신 예수님" (0) | 2025.03.29 |
[사순절 예배 2, 마태복음 18장 1-5절 설교] "어린아이와 같은 자가 천국에 들어간다" (0) | 2025.03.29 |
[사순절 예배 1, 마태복음 16장 24–28절 설교]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르라" (0) | 2025.03.29 |
부활절, 부활주일 예배 대표기도문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