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나!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왕"
본문: 마태복음 21:1–11
1 그들이 예루살렘에 가까이 가서 감람 산 벳바게에 이르렀을 때에 예수께서 두 제자를 보내시며
2 이르시되 너희는 맞은편 마을로 가라 그리하면 곧 매인 나귀와 나귀 새끼가 함께 있는 것을 보리니 풀어 내게로 끌고 오라
3 만일 누가 무슨 말을 하거든 주가 쓰시겠다 하라 그리하면 즉시 보내리라 하시니
4 이는 선지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일렀으되
5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탔도다 하라 하였느니라
6 제자들이 가서 예수께서 명하신 대로 하여
7 나귀와 나귀 새끼를 끌고 와서 자기들의 겉옷을 그 위에 얹으매 예수께서 그 위에 타시니
8 무리의 대다수는 그들의 겉옷을 길에 펴고 다른 이들은 나뭇가지를 베어 길에 펴고
9 앞에서 가고 뒤에서 따르는 무리가 소리 높여 이르되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
10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시니 온 성이 소동하여 이르되 이는 누구냐 하거늘
11 무리가 이르되 갈릴리 나사렛에서 나온 선지자 예수라 하니라
[서론]
오늘부터 고난주간이 시작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길을 시작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날,
우리는 이날을 ‘종려주일’이라 부릅니다.
사람들은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예수님을 환영했습니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라고 외치며,
예수님을 메시아로 영접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환호는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며칠 뒤,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외침은 바뀌었습니다.
“그를 십자가에 못박으라!”였습니다.
예수님은 이 모든 것을 아시면서도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셨습니다.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그 길이 곧 하나님의 뜻이며, 우리를 위한 구원의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고난주간의 첫 아침,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예수님께서 누구이신지,
나는 그분을 어떻게 맞이하고 있는지,
다시 돌아보기를 원합니다.
[본문 배경]
마태복음 21장은 예수님의 공생애 마지막 주간, 수난주간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입니다.
유월절을 앞두고 많은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모여들었고,
예수님도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향하셨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벳바게라는 마을 근처에서 제자들에게 나귀와 그 새끼를 끌고 오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자신은 그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십니다.
이 사건은 구약 스가랴 9:9의 예언을 성취하는 상징적인 장면입니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시나니 그는 공의로우시며… 나귀, 곧 어린 나귀를 타고 오시는도다.”
예수님의 나귀 입성은
왕이 오셨다는 선언이자,
그 왕이 겸손과 평화로 다스리는 분임을 드러내는 행동이었습니다.
[본론]
1. 예수님은 겸손한 왕으로 오셨습니다 – 스가랴의 예언을 이루시며
“이르시되 너희는 맞은편 마을로 가라… 나귀와 나귀 새끼를 보리니 풀어 내게로 끌고 오라” (2절)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택하신 모습은
권위와 힘의 상징인 말이 아니라, 어린 나귀였습니다.
나귀는 겸손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이는 단순한 겸손의 표현을 넘어,
하나님 나라가 세상의 방식과 전혀 다름을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예수님은 힘으로 다스리는 세상의 왕이 아니라,
사랑과 섬김으로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왕으로 오셨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분은 우리 마음에 억지로 들어오지 않으십니다.
조용히, 그러나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내가 너의 왕이 되어도 괜찮겠느냐?”
이 고난주간, 우리는
그분을 겸손한 왕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2. 사람들은 예수님을 환영했지만, 자기 기대 속의 왕을 원했습니다 – 신앙의 방향이 문제입니다
“무리가 매우 큰 무리가 자기들의 겉옷을 길에 펴며…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8–9절)
무리들은 예수님을 뜨겁게 환영했습니다.
겉옷을 길에 펴고,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메시아를 외쳤습니다.
“호산나!” – 이는 히브리어로 “우리를 구원하소서”라는 의미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로마의 억압에서 이스라엘을 해방시켜 줄 정치적 구원자가 되기를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런 방식으로 세상을 바꾸지 않으셨습니다.
오히려 그들의 기대를 꺾고, 십자가의 길, 낮아지는 길, 희생의 길을 선택하셨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따르다가
자신의 기대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떠났습니다.
오늘 우리도 예수님을 믿고 따르지만,
그 신앙이 ‘내 기대에 맞는 하나님’을 원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진짜 신앙은,
예수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십자가를 통해 우리를 구원하신 분으로 고백하고 따르는 것입니다.
3. 예수님의 입성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었습니다 – 십자가를 향한 순종의 걸음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시니 온 성이 소동하여 이르되 이는 누구냐 하거늘” (10절)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의 마음은 결코 가볍지 않았습니다.
그곳에서 자신을 배신할 자들을 만나고,
종교 지도자들의 음모와 조롱을 견디셔야 하며,
결국에는 십자가에서 죽으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예수님은 그 길을 피하지 않으셨습니다.
그 길만이 우리를 살리는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입성은 환호의 행진이 아니라, 십자가의 그림자가 드리운 행진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순종은 자기 감정이나 상황에 따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헌신에서 나왔습니다.
우리도 이 고난주간 동안
십자가 앞에서 우리의 신앙을 다시 정비해야 합니다.
내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걸음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4. 나는 예수님을 어떤 왕으로 모시고 있는가? – 개인의 결단으로 이끄시는 질문
무리가 말했습니다.
“이는 누구냐?” (10절)
오늘 이 질문은 우리 각 사람에게 주어지는 질문입니다.
“너에게 나는 누구냐?”
“너는 나를 어떤 왕으로 모시고 있느냐?”
우리의 입술로는 “호산나”를 외치지만,
정작 우리의 삶은 예수님을 나의 왕으로 모시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예수님은
‘내 문제 해결사’ 정도로 여겨지는 분이 아닙니다.
내 삶 전체를 다스리시고 인도하시는 참된 왕, 구원의 주님이십니다.
[결론]
고난주간의 시작인 오늘,
우리는 다시 예수님 앞에 서야 합니다.
그분이 우리 마음에 임하시기를 원하시며,
우리의 삶 가운데 왕이 되기를 원하십니다.
그분은 지금도 나귀를 타고,
겸손하게 우리 삶으로 다가오십니다.
그분 앞에 우리의 자아와 교만을 내려놓고
진심으로 이렇게 고백합시다.
“호산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이제는 내 마음의 왕이 되어 주옵소서.”
고난주간을 보내며, 이 고백을 깊이 묵상하는 성도들이 되기를 축복합니다.
[기도]
겸손히 나귀를 타고 입성하신 주님,
사람들의 기대와 환호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신 주님의 사랑을 묵상합니다.
우리 마음에 주님을 왕으로 모시기를 원합니다.
자기 방식이 아닌,
주의 말씀과 진리 앞에 무릎 꿇는 신앙으로 고난주간을 시작하게 하소서.
이 한 주간, 날마다 주님의 십자가를 기억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절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 2, 마태복음 21장 28–32절 설교] "말씀 앞에 순종하는 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간다" (0) | 2025.03.30 |
---|---|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 1, 마가복음 11장 12–19절 설교]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예수님 – 기도하는 집, 은혜가 회복되는 자리" (0) | 2025.03.30 |
[사순절 예배 15, 사도행전 1장 6–11절 설교] "증인이 되라 – 주님의 마음으로 세상 속으로" (0) | 2025.03.30 |
[사순절 예배 14, 요한복음 21장 15–19절 설교] "다시 부르시는 주님, 다시 일어서는 제자" (0) | 2025.03.30 |
[사순절 예배 13, 요한복음 20장 24-29절 설교] "보지 않고도 믿는 믿음" (0) | 2025.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