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상식22

바나나맛 우유, 우리 아이 1등 간식 바나나 맛 우유!! 어릴적 목욕탕에 가서 시원하게 목욕을 마치면 아버지가 사주시던 바나나 우유!! 아마 목욕탕에서 이거 한번도 안먹어본 사람이 있을까? 어린시절 우리의 친구, 단지 모양이 시그니처인 이 녀석.. 최근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한손에 이 우유를 들고 출근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이슈가 되기도 했다. 오늘은 이 바나나맛 우유에 대해 파헤쳐 보자 [역사] 바나나맛 우유는 1974년에 출시 되었다. 가공식품 중 장수 식품 중 하나이다. 사실 이 제품은 1970년대 초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우유 섭취를 권장하며 만들어졌다. 흰우유가 몸에 좋다지만 맛에 대한 호불호가 있다보니, 더 맛있게 만들어 우유를 많이 먹도록 유도하기 위해 바나나맛 우유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에대한 자세한 뒷이야기를 찾아보았다. 알려.. 2023. 2. 13.
치아미백을 위한 고쳐야 할 습관 미디어가 발달하고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일이 일상이 된 요즘은 치아미백을 위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티비에 나오는 연애인들은 가지런하고 하얀 치아를 위한 라미네이트 등의 시술을 하기도 하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이런 시술이 익숙하지도 않을뿐더러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누렇게 변해가는 치아를 가만 두어야 할까? 간단한 생활습관이나 식습관개선을 통해 치아미백 효과를 볼 수 있는것들이 있다. 흔히 알려진것들, 치과의사들이 추천했던 방법들을 몇가지 정리하여 소개해본다. 1.바른 양치습관 치아미백을 위해 할 수 있는 최고,최선의 방법 중 하나가 양치질이다. 그러나 잘못된 양치습관은 오히려 치아미백을 해치기도 한다. 예를들어 지나치게 오래하거나 강한 칫솔질은 치아표면에 상처를 주거나 잇몸을 상하게 할 수.. 2023. 2. 12.
민들레의 효능, 건강 상식 최근 민들레 열풍이 불었다. 포털에 민들레 관련된 기사가 도배되었는데, 이는 다름아닌, 여당의 일부 인사들이 사조직을 만들려고 했는데 그 이름이 '민들레'였던 것이다. 이 조직이 무슨 목적으로, 이유로 만들어진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애꿎은 민들레만 욕을 먹고 있다. 민들레는 우리에게 친근한 식물이다. 노랗고 하얀 꽃을 피우는 민들레는 우리 나라 곳곳에서 피어나는 생명력이 좋은 식물이다. 특히, 꽃이 지고 나면 솜털같은 하얀 홀씨들이 둥글게 뭉쳐져 있는데, 입으로 후~ 하고 불어내면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모습이 참으로 재미 있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식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민들레의 모습은 마치 우리 민족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는 듯 하다. 그래서인지 다양한 곳에서 '민들레'라는 이름을 즐겨 사용하는가 보.. 2023. 2. 12.
감자 효능, 맛있는 간식 구황작물의 대명사 감자 우리나라 국민간식 감자 감자는 여러 수식어로 설명할 수 있을만큼 우리에게 친숙하고, 맛있는 인기만점, 영양 간식이다. 오늘은 감자에 대해 한번 살펴보자. 감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원산지가 대한민국 강원도일 것 같지만 사실 안데스산맥이 원산지이고, 온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는 작물이다. 우리나라에 들여온것은 18세기 초 중국인들을 통해 들여오게 되었다. 감자는 고탄수화물 식물로 한두개만 먹어도 배가 든든해진다. 자, 감자의 효능을 한번 알아보자. [피부미용] 감자는 피부를 진정시키고, 기미와 잡티를 줄이는 효능이 있다. 또 미백의 효과도 있다. 그래서 갈아서 팩을 하기도 한다. [항산화효과] 감자에는 비타민C,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평소에 꾸준히 섭취하.. 2023. 2. 11.
유통기한 지난 우유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에 대한 해묵은 논쟁은 언제쯤 끝날까? 유통기한에 대한 논쟁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은 절대 먹으면 안된다." vs "유통기한이 지나더라도 보관이 잘되어 있다면 괜찮다." 이 두가지 주장을 놓고 사람들 사이에 토론이 시작되면 합의점 없이 끝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누구도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는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저마다 합리적인 이유와 삶의 경험을 근거로 논리정연하게 의견을 펼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이 논쟁을 끝낼 수 있을까?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는 이러한 논란을 의식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유통기한의 표기를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것을 유력하게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식약처에서 시행하려는 소비기한을 통해 이 논쟁의 답을.. 2023.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