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언약의 일꾼
고린도후서 3장 1–18절
중심 구절: “우리가 새 언약의 일꾼 되기에 만족함은 우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난 것이라” (고후 3:5)
[서론]
우리는 때때로
“나는 하나님의 일을 감당할 자격이 있을까?”
“내가 과연 복음을 전하고, 누군가를 섬길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의 부담과 주저함을 느낍니다.
고린도 교회에도 바울의 사도직을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바울은 오늘 말씀에서 자신이 어떤 증명서나 추천서로 사역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께서 새 언약 안에서 역사하시는 증거로 살아가고 있다고 고백합니다.
오늘 이 말씀을 통해
우리가 어떤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인지,
그리고 새 언약의 일꾼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함께 묵상하겠습니다.
[본론]
1. 진정한 추천서는 사람의 편지가 아니라, 삶입니다 (1–3절)
“우리가 다시 자천하기를 너희에게 시작하겠느냐
혹은 어떤 사람처럼 추천서를 너희에게 붙이거나 너희에게 받거나 할 필요가 있느냐” (1절)
바울은 자신을 의심하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말합니다.
“내 추천서는 바로 너희다.”
- 바울의 사역이 남긴 가장 큰 증거는 변화된 성도들의 삶이었습니다.
- 그들은 먹으로 쓴 글이 아니라,
성령으로 새겨진 살아 있는 편지였습니다. (3절)
오늘날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신앙은 자격증이 아니라,
삶으로 드러나는 편지입니다.
2. 우리는 새 언약의 일꾼입니다 (4–6절)
“우리가 무슨 일이든지 우리에게서 난 것 같이
스스로 만족할 것이 아니니
우리의 만족은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나느니라.” (5절)
바울은 사역자로서의 자신감과 능력이
자기에게서 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분명히 고백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새 언약의 일꾼’이라고 정의합니다.
- 옛 언약은 돌에 새겨졌고, 죽이는 역할을 했지만,
- 새 언약은 성령으로 새겨져 사람을 살리는 사역입니다. (6절)
우리는 율법을 전하는 자가 아니라,
생명을 전하고 변화시키는 복음의 일꾼입니다.
3. 영광이 더 큰 새 언약의 사역을 맡았습니다 (7–11절)
바울은 모세가 돌판을 들고 나왔을 때
그 얼굴에 나타났던 옛 언약의 영광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그 영광은 잠시였고, 사라질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새 언약, 즉 성령의 사역은
- 더 큰 영광을 가지며,
- 점점 더 밝아지고,
-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사역입니다.
“영의 직분은 더욱 영광이 있나니…
이 영광은 더 넘치는 영광이라.” (8–9절)
오늘 우리도
이 영광의 사역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비록 연약하지만,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영광스러운 복음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4. 우리는 담대하게, 그리고 열린 얼굴로 주님을 바라보며 변화받는 자입니다 (12–18절)
“우리가 소망이 있으므로 담대히 말하노니…” (12절)
- 바울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 율법의 그늘 아래 머물지도 않았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을 만난 뒤
자신의 얼굴에 수건을 썼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수건 없이,
하나님을 직접 바라보며 변화되어 갑니다. (18절)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 같이 주의 영광을 보며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18절)
복음은 단지 ‘지식’이 아니라,
우리를 점점 더 예수님 닮게 만드는 능력입니다.
[적용과 묵상]
오늘 이 말씀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 나는 사람에게 인정받는 추천서를 구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 나의 삶은 그리스도를 드러내는 편지가 되고 있는가?
- 복음을 두려움 없이 담대하게 전하고 있는가?
- 성령의 역사로 날마다 예수님의 형상으로 변화되고 있는가?
하나님은
우리의 능력을 보고 쓰시는 것이 아니라,
성령으로 충만케 하여,
우리를 새 언약의 일꾼으로 세우십니다.
[결론]
바울은 말합니다.
“나는 새 언약의 일꾼이다.
이 사명은 내 힘이 아닌, 하나님께서 주신 능력으로 감당하는 것이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도 나의 부족함과 한계를 뛰어넘어
복음의 편지로 살아가고,
예수님의 형상으로 점점 변화되어 가는
새 언약의 일꾼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기도]
하나님,
우리를 새 언약의 일꾼으로 세우시고
복음을 맡겨주심을 감사드립니다.
나의 자격이 아닌,
성령의 능력으로 감당하게 하시고,
우리의 삶이 그리스도의 향기요 편지가 되게 하옵소서.
담대히 복음을 전하며,
날마다 주의 형상으로 변화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설교자료 > 고린도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후서 5장 1–21절 설교]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0) | 2025.04.14 |
---|---|
[고린도후서 4장 1–18절 설교] "질그릇에 담긴 보배" (0) | 2025.04.14 |
[고린도후서 2장 12–17절 설교] "그리스도의 향기" (0) | 2025.04.14 |
[고린도후서 1:12–2:11 설교] "진정한 관계의 회복" (0) | 2025.04.14 |
[고린도후서 1장 1–11절 설교] "모든 위로의 하나님" (0) | 2025.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