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교자료/레위기10

레위기 4장 27-35절: 개인의 죄와 하나님의 자비 개인의 죄와 하나님의 자비 서론: 모든 죄는 하나님 앞에서 중요하다레위기 4장 27-35절은 개인이 부지중에 범한 죄에 대한 속죄제 규례를 다룹니다. 이전 본문이 대제사장과 지도자, 공동체의 죄를 다뤘다면, 이번 본문은 모든 평범한 사람들에게 적용됩니다. 이는 모든 사람의 죄가 하나님 앞에서 동일하게 심각하며, 누구도 죄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본문 강해Ⅰ. 부지중에 지은 개인의 죄 (27-28절)"만일 평민이 부지중에 범죄하여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라도 어기면… 그가 범한 죄를 깨달으면 그는 흠 없는 암염소를 예물로 가져다가 속죄제물로 삼아…"(27-28절) 개인이 부지중에 지은 죄(בִּשְׁגָגָה, bishgagah)라도, 죄를 깨닫게 되었을 때 반드시 회개하고 속죄제를 드려.. 2025. 2. 3.
레위기 4장 13-26절: 지도자의 책임과 속죄 지도자의 책임과 속죄 서론: 공동체의 죄와 리더의 책임레위기 4장 13-26절은 공동체와 지도자가 부지중에 범한 죄에 대한 속죄제 규례를 다룹니다. 죄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지도자의 죄는 더 큰 책임을 요구합니다. 이 본문은 죄의 영향력과 속죄의 은혜를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  본문 강해Ⅰ. 공동체의 죄: 회개와 속죄의 중요성 (13-21절)"만일 이스라엘 온 회중이 부지중에 범죄하여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라도 어기면… 그 죄를 깨달으면 회중이 수송아지를 속죄제물로 드릴지니라."(13-14절) 본문은 이스라엘 회중 전체가 부지중에 범한 죄에 대해 언급합니다. 죄를 깨닫기 전까지는 공동체가 그 죄의 결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러나 죄를 인식하는 순간, 속죄.. 2025. 2. 3.
레위기 4장 1-12절: 알지 못한 죄를 위한 속죄 알지 못한 죄를 위한 속죄 서론: 부지중에 지은 죄도 죄입니다레위기 4장은 속죄제(חַטָּאת, ḥaṭṭā’t)에 대한 규례로, 부지중에 지은 죄에 대한 하나님의 처리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종종 고의로 지은 죄만을 심각하게 여기지만, 본문은 알지 못한 죄조차도 하나님의 거룩함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임을 가르칩니다. 하나님은 모든 죄를 깨닫고 회개할 기회를 주시며, 그분의 자비로 속죄의 길을 여십니다.  본문 강해Ⅰ. 죄의 본질: 부지중에 지은 죄도 하나님 앞에 죄다 (1-2절)"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사람이 부지중에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라도 범하여 죄를 지으면…"(1-2절) 본문은 ‘부지중에 지은 죄’(בִּשְׁגָגָה, bishgagah)를 강조합니다. 이는 의도하지 않았거나 알.. 2025. 2. 3.
레위기 3장 12-17절: 화목의 제사, 나눔의 삶 화목의 제사, 나눔의 삶 서론: 화목제의 나눔과 공동체의 의미레위기 3장 12-17절은 화목제의 나머지 규례를 다루며,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와 공동체 안에서의 나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본문은 하나님과의 화평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화목이 신앙의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화목제의 규례를 통해 우리는 진정한 화평과 나눔의 삶이 무엇인지 묵상할 수 있습니다.  본문 강해Ⅰ. 화목제의 다양성: 모든 이의 참여 (12-16절)"만일 그의 예물이 염소이면 그것을 여호와 앞에 드릴지니라."(12절)화목제는 소, 양, 염소 등 다양한 제물을 허용합니다. 이는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음을 상징합니다. 중요한 것은 제물의 크기나 종류가 아니라, 하나님께 드리는 마음의 태도입니다. 제물의 기름과.. 2025. 2. 3.
레위기 3장 1-11절: 하나님과의 평화를 누리는 제사 하나님과의 평화를 누리는 제사 서론: 화목제의 의미레위기 3장은 화목제에 대한 규례를 설명합니다. 화목제(שֶׁלֶם, shelem)는 ‘완전함’, ‘평화’를 의미하며, 하나님과의 화평한 관계를 기념하고 감사하는 제사입니다. 이 제사는 죄사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표현하는 예배의 형태입니다. 본문을 통해 하나님과의 참된 화평과 감사의 삶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본문 강해Ⅰ. 화목제의 본질: 하나님과의 평화 (1-5절)"만일 그의 예물이 화목제의 희생이면..."(1절)화목제는 번제와는 다르게 제물의 일부를 제사장과 제사를 드리는 자가 함께 나누어 먹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화평한 관계가 회복된 후, 그 기쁨과 축복을 공동체와 나누는 의미를 담고 .. 2025. 2. 3.
반응형